목록2022/09 (61)
| It's electric |
이스라엘 스타트업 에비에이션(Eviation)이 지난 2019년 파리 에어쇼에서 공개한 전기 항공기 앨리스(Alice)의 실제 활주로 고속 주행 테스트가 마침내 진행됐다. 이륙은 하지 않고 이륙 전단계까지 달려 보는 것. 현재 모델은 지난 6월애 생산한 것으로, 동체 양쪽에 한쌍의 640kW급 magniX 모터를 사용하여 1회 충전시 항행 거리가 814km. 속도는 407km/h 그렇다. 비행가능거리가 무척 짧다. 심지어, 고작해야 11명이 탈 수 있고 짐도 1.1t 정도만 탑재 가능. 첫 비행이 언제 시작될지는 아직까지 미지수. 전기 비행기는 여전히 갈길이 멀다. 하지만 신선한 도전은 것은 분명하다. 아래는 당시 고속 주행 실험 영상. 출처 - https://twitter.com/EviationAero..
23일 공개된 기재부 자료다. 2023년 국가보조금은 100만원 줄고 대신 지원 댓수는 늘린다는 계획. 전기차 보조금은 국가보조금과 지자체보조금이 더해져 총액이 결정되는데, 지자체 보조금이 소진되는 경우도 있어 내년에도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다만 현재 보조금 100% 지급기준이 5천500만원인데, 이 기준이 계속 유지될지는 미지수. 자료 https://www.moef.go.kr/nw/nes/detailNesDtaView.do;jsessionid=8LWNhPZIEtG57y9rtChiqj3T.node30?searchBbsId1=MOSFBBS_000000000028&searchNttId1=MOSF_000000000061168&menuNo=4010100 기획재정부 `22년도 핵심사업평가 결과 최종보고회 개최..
Signature look. There is a good chance you’ll be able to catch the distinctive rear lights of the next #Audi e-tron prototype in Hamburg from September 23 to 25 – as Audi is part of the field at the #ecannonball. Get ready. 아우디 공식 트위터에 올라온 사진이다. 오는 23일(현지시각) 이트론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 프로토타입 공개가 예정돼 있다. 함부르크 E-Cannonball에서 공개될 예정인 이 모델은, 사진에서 보듯 몇 가지 변화점을 알 수 있다. 헤드라이트가 바뀐다. 어떻게 바뀔지는 지켜볼 일. 로고 부분이 디보싱 처리가 ..
9월 7일에 공개된 자료인데, 이 곳에 보면 고속도로에서 전기차 충전기 설치 사업을 도로공사가 진행하는 것이 아니고 민간 사업자를 끌어 들여서 판을 벌리는 구조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속도로 휴게소에 음식점을 입점시키고 수수료를 먹어버리는 방식과 동일한 것이다. 심지어 10년 동안 매출 비례 수수료(부지사용료)를 떼가고, 10년 이후에는 원상복구하거나 기기 자체를 기부체납해야 함. 조건이 매우 좋지 않지만, 신생 사업자 입장에선 고속도만큼 세를 확장하기 좋은 기회도 드물기 때문에 돈이 남지 않더라도 하겠다는 업체가 다수 있을 것이다. 이러니, 뭔가 충실한 서비스가 이뤄질 수 없는 구조지. 계약기간 후반기 가까이 되면 기기를 방치하기 시작할 테니 그것도 뻔히 보이는 수순이다. 고속도로에 정말 많은 전기..
테슬라를 소유한 뒤에 가장 큰 불만 중 하나가 배터리 드레인 현상이 생각보다 심각하다는 사실. 커뮤니티의 일명 잘난척 하는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온도조절 모드 오프 센트리 모드 오프 블박 오프 앱으로 차를 원격으로 깨우지 않기 (연결 안하기) 조건으로 사흘에 1% 정도 빠지는 전기차라...고 주장. 심지어 일부 오너들은 하루에 1%가 빠진다는 사람들도 있고, 아예 밤새도록 3~4%씩 빠져서 차가 문제가 있다고 호소하는 사람도 한둘이 아니다. 사실 다른 전기차를 타면 이런 일이 드물거든. 예컨데 아우디 이트론55의 경우 주차를 장기간 해서 배터리가 눈에 띄게 주는 경우는 아예 없었다. 블랙박스 상시 모드나 보조배터리 추가시공 또는 기타 전장 부분 자잘한 튜닝을 한 경우가 아니라면 일주일을 세워 놔도 ..
한국인이 R1T를 실제로 출고해서 후기를 남긴 사례는 드문 경우인데, 아래 영상을 참고해 볼 수 있다. 테슬라 마니아로서 3천km를 주행해 본 결과 테슬라를 뛰어넘는다는 이야기임. 그리고, 차가 너무 잘나가고 승차감이 만족스럽다는 설명. 더 말해 뭘해. 미국 내에서도 리비안 픽업트럭 R1T에 대해서는 호평 일색인데. R1S가 출고가 되고 있으니 이걸 성공시키고, 아마존 납품이 시작된 미니밴도 벤츠와 협력해 일반 상용버전 파생모델이 나오고, 좀 더 하드코어(어드벤처) 차량 모델이 나오는 단계를 거치면서 성장하지 않을까 싶다. https://youtu.be/MsdN73S4jWM Meritocrat @ it's electric
전기차는 내연기관과 달리 베끼기 참 좋은 구조다. 필요한 구동계 기술력이 부족해도 필수 부품 수가 적고 생산도 비교적 쉽고 모터와 배터리만 있으면 쉽게 복제가 가능한 형상이니. Xpeng을 비롯해 다양한 중국 전기차 기업들이 테슬라를 비롯해 잘나가는 회사들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교모하게 베끼거나 대놓고 베낀다. 오토파일럿, 차량 인터페이스, 웹사이트까지 비스므리 함 ㅋㅋㅋ .. 암튼 리스크 걸고 창의적으로 할 바에는 차라리 걍 남들이 잘하던 걸 가져오겠다는 심사겠지. 창안, 화웨이, CATL 등이 합자한 회사인 신생브랜드 Shenlan이 SL03이란 차량을 내놓고 예약을 받기 시작했는데 테슬라 모델3를 대놓고 베낀 상황이라고. 모델3가 중국에서 4만 달러 정도에서 시작하는데, 이 제품은 2.6만 달러..
벤츠는 다임러 트럭이라는 자회사에서 전기트럭을 비롯해 상용차를 만드는데, 지난해 이미 전동화를 선언한 바 있다. 일명 e트럭인데, E-Actros 란 이 모델은 2024년부터 생산이 시작된다. 테스트는 2023년이고, 실제 고객 인도가 2024년이다. 주행가능거리 500km 수준 배터리 용량 총 600kWh(LFP 덩어리가 3팩 설치됨) 출력 400kW 이상 (815마력) 잠재 수명은 120만km를 예상한다고. 충전 속도는 400kW를 예상하는데 배터리 용량이 있으니, 20~80%까지 45분 걸림 ㅋㅋ 초기 구매 비용은 당연히 비싸지만 장기적으로 볼 땐 이득이 될 것이라는 주장. https://www.auto-motor-und-sport.de/elektroauto/mercedes-e-actros-long..
아우디 이트론55의 간지좔좔 전동 충전구에 대해 소개를 한 바 있다. 당시 소개를 하면서 해외에는 양쪽으로 충전구가 있는데 레트로핏을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이야기도 했었고. 암튼 아우디는 충전구가 아래로 스르륵 밀려 내려오는 전동식 충전구를 채택하고 있는데 이들은 이것을 charging socket flap 이라고 부른다. 암튼 공식 설명서 자료를 좀 더 살펴보면, 운전석 휀더에 충전구가 있는데 차징 플랩 모듈이라고 한 세트로 표기돼 있다. EX32이라고 표기된 모듈 버튼을 누르면 차량 언락된 상태에서 충전구가 내려간다. 충전 소켓은 차량이 언락이 되어 있거나, 또는 컨비니언스 키 옵션이 있는 경우에는 키를 소지만 해도 충전구가 열린다. 한국에 출시된 이트론55는 모두 컨비니언스키 기능이 있기 때문에..
뭐든지 해라. 하고 나서 후회해라. 무조건 막무가내로 하란 게 아니라, 진심을 다해 해 보고 안되는 이유를 깨닫는 것 조차도 이미 스스로 성장하는 과정이다. 계획하지도 않고 해 보지 않고 늘 준비하는 마음으로 살지도 않고 무슨 천운이 도래하고 운이 대성하길 바라겠는가. 투자도 마찬가지다. 해 보면 알게 된다. 나역시 FIRE에 관심을 갑자기 가졌겠는가. 투자를 하다 보면 내 남은 인생에 뭐가 더 중요한지 뭘 더 해야 하는지 감이 온다. 그 과정에서 준비한 사람, 실패해 본 사람, 시도해 본 사람은 기회를 알아차리게 되고 낚아챌 수 있는 혜안이 생기는 거다. 평생 수없이 자격증을 따고 아직도 공부하는데 거부감이 없는 이유는 언제 올지 모를 기회를 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기회는 진짜 늘 있다. 기회를 잡을..
지난 5월부터 시작된 사전예약이 1만3700대에 달했다고 하는 전기 미니밴 'ID버즈'가 10월부터 진짜 레알로 독일 시중에 풀린다. 레트로하면서도 특유의 디자인을 잘 살린 모델로 평가받는데다가 전기 미니밴 섹터에는 사실상 경쟁자가 없는 상황이어서 다들 기다리는 눈치. 알려진 바에 따르면 사전계약의 절반은 승용 제품 나머지 절반은 상용차(화물 및 특수자동차) 제품으로 주문이 된 상태. 그만큼 일반 기업이나 사무용으로 사용하겠다는 요구가 많은 셈. 독특한 시장 포지션으로 인해, ID버즈의 수요는 아마 당분간 계속될 듯 하다. 하지만 문제는.... 역시 가격... https://youtu.be/yHG83uqX8gA 실제 주문가격 확인해 보기 ; https://youtu.be/xjO-2-cp694 위 영상에서..
Jeep가 완전 외딴 지역의 독립된 충전 시설에 대한 콘셉트로 태양관 장치를 제안하고 있는 모양인데, 아래 내용에서 더 참고할 수 있다. https://youtu.be/vxMXM5KYoRM https://www.drive.com.au/news/jeep-plans-remote-solar-powered-charging-stations-for-electric-off-roaders/ Jeep plans remote solar-powered charging stations for electric off-roaders US car giant Jeep has a bold plan to dot remote parts of the US and Australia with solar-powered charging stati..
사실 뭐 한국도 현대차 등이 800V 시스템을 이미 도입은 한 바 있는데, 암튼 초고속 충전에 대한 열망과 도전은 계속되고 있다. 전압x전류=전력량 (P=VI) 충전속도는 이렇게 계산된다. 이것만 알면 된다. 현대차나 포르쉐 타이칸 등은 800V로 전압을 올려 충전속도(전력량)를 높이는 방식이다. 하지만 언제까지 무작정 전압을 올릴 순 없을 테고. 고전압 충전설비는 안정성이나 위험성이 더 커진다. 참고 https://blog.naver.com/kipoworld2/222596772625 고속 충전과 고성능을 위한 800V이상의 전기자동차 충전기 및 시스템 순수 전기자동차는 배출가스가 영(zero)라는 의미로 ZEV(Zero Emission Vehicle)로도 알려져 있어 무... blog.naver.com..
이트론55 등 아우디 신형 키에는 모두 적용되는 방법이다. 아니 사실 모든 차량 키가 구조적으론 비슷하니 동일한 방법으로 하면 될 것이다. 자동차 키에 배터리가 부족하면 차량에 탑승할 때마다 '키 배터리가 없다'며 교체를 요구한다. 센터에서 교체하는 초보들도 있다고 들었는데, 부품값보다 공임비가 엄청나다. 참고하시길 ㅋㅋ (BMW에서는 배터리 교체하는데 몇만원 요구했다고 에라이 미친 놈들아. 역시나 니들이 그렇지 뭐) 준비물은 일자드라이버(또는 얇은 꼬챙이)와 2032 코인 리튬 배터리 개당 가격으로 치면 한개 천원 쯤 할라나. 이미 해외에 영상으로 만들어 둔 분도 있으니 나는 영상 촬영은 스킵하겠다. https://youtu.be/CurWSFtxRl4 Meritocrat @ it's electric
FIRE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10년, 20년 뒤를 희미하게나마 예견할 수 있는 '심안'이 필요하다. 우리 삶이 사실 뭐든 그렇긴 하지만... 얼른 투자해라. 20~30대를 함축적으로 소비하고 40~50대를 알차게 즐길 시간을 벌어라. 물론, 투기를 하란 게 아니다. 뭣이 중헌지에 대해 솔직해지자는 거다. 월급 받는 것에 안주하면 그냥 그 삶 그대로 마감하는 거다. 방문자 중에 단 한명이라도 느낀다면 이 블로그 글 닫고 공부를 시작하겠지. 모두가 FIRE를 깨우치면 경쟁이 너무 치열하잖아. realthing은 원래 그냥 보이는대로 보면 안보인다. 절대 볼 수 없다. Meritocrat @ it's electr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