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기차 라이프&여행 (102)
| It's electric |

전기차 마니아라면 상식 차원에서 볼만한 영상들. 1. 전기차 구조 완전 해부- 전문가가 알려주는 핵심 메커니즘(영상 속 시연 차량은 아이오닉임, 대부분 전기차가 비슷한 구조)https://youtu.be/o2xMZJRsRWs?si=uDJ6Dv6NvytFIwWl 2. 전기자동차 고전압 안전하게 작업하기!- 전문가가 알려주는 개인 보호 장비https://youtu.be/P4bRLn3dtx8?si=L9l_ONZiBJTS_PRbhttps://youtu.be/9cqIUJN8hSk?si=xZwlX9M020IgbpeO 이 채널에는 이 밖에도 괜찮은 내용들이 더 있으니,필요하면 상세 참고하시길.(해당 유튜브 채널 운영자와는 아무런 관련도 없음) Meritocrat @ it's electric

전기자 배터리 1만개 분석한 결과, 1. 배터리 평균 수명은 20년으로 내연기관 14년을 이미 넘음2. 연간 배터리 효율이 1.8% 정도 떨어지는 것으로 추정3. 배터리 고장율은 0.5% 이하로 유지 4. 배터리를 오래 사용하려면 충전 습관, 내외부 날씨, 완속 위주 충전, 적당한 배터리 온도 유지....5. LFP는 이러한 내구성 이슈에서 더 향상됐음... https://www.electrichybridvehicletechnology.com/news/geotab-data-shows-ev-batteries-could-last-20-years.html Geotab data shows EV batteries could last 20 years - Electric & Hybrid Vehicle Technolo..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지금 사면 자살골이고,(내가 늘 말했잖아... 기술적으로 어정쩡한 건 현명한 소비가 아님) 전기차가 내연기관을 넘어서는 포인트는 2040년 정도가 될 듯.이제 15년 남았다. 그러하다... 출처 https://edition.cnn.com/interactive/2019/08/business/electric-cars-audi-volkswagen-tesla/ 위 CNN기획기사도 번역기로 마저 보시길.굉장히 인상적인 내용들이 많이 담겨 있음. Meritocrat @ it's electric

전기차주들조차도 이상한 오해를 하는 경우가 많다.세계적으로 알려진 9가지 몰상식에 대해 팩트를 따져 봐야 한다고. 출처 https://theconversation.com/9-myths-about-electric-vehicles-have-taken-hold-a-new-study-shows-how-many-people-fall-for-them-257557 9 myths about electric vehicles have taken hold. A new study shows how many people fall for themFrom fires to carbon emissions and electromagnetic fields, misinformation about electric vehicles is rif..

배터리 무게 때문에 자꾸 단순 비교해서 그렇지, 실제 내연기관은 무거운 연료를 연중 내내 차량 내부에 싣고 다녀야 하고,이 연료는 주기적으로 계속 주입을 해 줘야 하기 때문에 총소비량에 따른 무게는 비례해 증가...게다가 이 연료를 주유소로 실어 나르기 위해서 또 막대한 인프라 운반 부하가 발생... 반면 전기차는 충전량과 상관 없이 일정한 무게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차량 효율, 구조적 측면, 하중 등 모든 면에서 예상치 못한 과중이 없음.전기 충전소는 전력 인프라의 문제이지 도로나 차량에 직접 영향을 주는 부담이 없음. 다음에 누군가가 전기 자동차가 "너무 무겁다"고 주장하면, 전체적인 무게 문제를 고려해 보라고 하세요. 1,200파운드의 배터리를 영구적으로 가지고 다닐 것인지, 아니면 매년 2,500파..

1분기 가계소비, 4년여만에 최대감소…7분기만에 마이너스 전환 | 연합뉴스 한국 상위 20프로는 이제... 구매력 없어.고가 전기차 사 줄 사람이 없다니까... 니들이 그 가격에 출시한 것도 황당하지만,할인 수준이 더 말이 안됨. 생각이 있으면 할인으로 빨리 털어라...악성재고는 시간 문제임. 그래야 살 사람들이 간을 볼 것 아니요.. ㅋㅋ 경제성장률 1프로 미만으로 꼬라박고경기부양 때문에 금리 인하 가속화되면연말 고가전기차 폭탄세일은 이미 예고된 거임. 감가 맞은 중고 전기차도 속출할거임.얄랑한 할인에 다들 호구되지 마시길. Meritocrat @ it's electric

카플레이 좋은 건 알겠는데,카플레이 울트라... 등장이라 구형 차량 운용 입장에서는차량에서 안받아줘서 업데이트된 카플레이 UI도 사용 못하는 마당에,참 계륵같은 발표라고 할까. 애플은 차량 전장과 시스템을 세밀하게 통합하겠다는 의지인데, 지금 전기차 업체들이 자체적으로 전장 죄다 범용 OS급으로 끌어올리는 마당에.얼마나 적용대상을 늘릴지는 지켜볼 일. 애플은 이전에 포르쉐 차량에 적용될 차세대 카플레이 렌더링도 공개한 적이 있다. 하지만, 아직 애스턴 마틴을 제외한 다른 차량에 카플레이 울트라가 언제 제공될지에 구체적인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다. 반면, 메르세데스-벤츠는 지난해 카플레이 울트라 지원 계획을 철회한 바 있다.IT매체 기즈모도는 애플 카플레이와 구글 안드로이드 오토가 오랫동안 연결 끊김, ..

재미있는 기사,숨은 인사이트도 충분히 담긴 기사임. 독일 ADAC가 지난해 한해 동안 360만건 고장신고에 대응해 본 결과,1. 전기차는 내연기관 차량보다 고장률이 월등이 낮음.전기차는 전체 360만건 중 4.3만건에 불과 (나머지는 모두 내연기관 또는 하이브리겠지 ㅎㅎ) 2. 2020~2022년 사이에 첫 등록된 차량 기준으로 보면전기차는 1000대당 4.2건 고장내연기관은 1000대당 10.4건 고장으로갖 출고한 신차 기준으로도 전기차가 더 고장이 덜함 3. 12V배터리는 전기차와 내연기관 모두 가장 주요한 고장 문제로 지목전기차 고장의 50%, 내연기관 고장의 45%를 차지.따라서 차량의 전장, 특히 12V 배터리의 대체구조를 찾는다면 전기차는 획기적으로 고장율을 개선할 수 있다고 보임.(사이버트럭..

호주에 저가형 전기차들이 대거 유입되면서,(특히 중국산) 내연기관과 동급에서 가격이 비슷해지거나 오히려 더 싸짐.전기차를 안 살 이유가 없음 ㄷㄷ 시장이 성숙해지면 전기차로 바뀌는 건 시간 문제인데,그 사회적 변화 동인이 '중국산'이라면 엄청난 고민이 되지 않나 싶다. 호주야 자동차 산업 자체가 사회적으로 의미가 크지 않지만,한국은 자국의 자동차 산업을 생각해야 하니 갈등이 깊어지겠지. https://www.drive.com.au/news/electric-car-prices-in-australia-now-match-petrol-models-in-popular-segments/ Electric car prices in Australia now match petrol models in popular seg..

전기차는 ... 특히 배터리나 모터 등의 경우에는사실상 사설에서 '수리'는 어렵고,결국 높은 비용을 들여 교체하는 수준에서 대응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한 바 있다.https://meritocrat.tistory.com/1415 이트론55 모터 뜯어 보았다..."수리는 거의 불가능"이트론55의 모터, 감속기, 그리고 냉각수 카트리지에 대해서는 설명을 한 바 있는데... https://meritocrat.tistory.com/391 이트론55 모터와 감속기 교체 비용을 알아보자전기차는 보통 배터리가 말썽이meritocrat.tistory.com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기차 수리비는 계속 낮아지고 있는 것도 사실임. 실제로 미국내 보험사 데이터에 따르면,최근에는 전기차와 내연기관 간의 평균수리비가 거의 차이가 없..

차량 판매가격과 중고잔가가 특히 TCO에 큰 걸림돌.신차 가격이야 계속 떨어지곤 있지만, 중고가격 떡락이 레알 큰 문제임. 정부 자료 참고 https://news.mtn.co.kr/news-detail/2025020416423723089 "경제성 없다" 인정한 정부 [전기차 新지형도①][단독][앵커멘트]각종 보조금과 세제 혜택에도 전기차 하면 여전히 비싸다는 인식이 있죠. 머니투데이방송이 실태를 파악한 용역 보고서를 입수했는데 정부도 경제성이 떨어진다고 분석하고 있었습news.mtn.co.kr 무조건 모든 유저케이스에 경제성이 없다는 의미는 아님.연간 주행거리가 굉장히 길거나전비(연비) 위주의 주행이 잦는 경우메인터넌스 비용에 부담이 특히 되는 경우전기차는 내연기관에서 기대할 수 없는 혁신적인 메리트를..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539731 "국민 혈세인데 테슬라에 왜" 이언주, 수입 전기차 보조금 지급 비판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수입 전기차에 대한 국비 보조금과 관련 "우리 국민 혈세로 다른 나라 산업을 키워주나"라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30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왜 수입 전기차에도n.news.naver.com 인간적으로 전기차 좀 안다는 사람이라면이중잣대는 말자... 당초 자국 우선주의 무역 보호장치로서 보조금이면 이해함...하지만 현재 취지가 취약계층 지원 환경 보호 등이라면민주당의 테슬라 혐오 도 넘었는데,테슬람들이 들고 일어나 민주당을 가루로 만들어야 하는 것 아님? 이중잣대 테슬람 침묵하는 불의가 젤 싫음. Meritocrat @ i..

아래 참고.... 테슬라 등 상당수 수입차 회사들이 많이 줄어들었고,국산차(특히 현대)는 많이 줄어들지 않음. https://ev.or.kr/nportal/buySupprt/initBuySubsidySupprtAction.do# https://ev.or.kr/nportal/buySupprt/initBuySubsidySupprtAction.do ev.or.kr 위 지자체 보조금은 2024년 기준으로 참고만 하시길. 다만, 국고보조금이 줄어든 만큼 지자체보조금도 줄기 때문에(비례해서 처리),만약 2025년에 국고보조금이 많이 줄었으면 2025년 지자체 보조금도 동시에 줄 예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Meritocrat @ it's electric

아래는 테슬라에 대해서만 오버해서 강조하고 있지만,사실 전기차를 만들어 본 업체라면 다들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비슷함. 내연기관을 만들 때보다 훨씬 더 적은 부품이 들어감.특히 지속적으로 부하를 받는 구동장치들이 거의 대부분이 삭제되고모터와 배터리, 감속기 일부만으로도 훌륭한(?) 파워트레인이 구성됨 구동부품 수를 획기적으로 줄인 전기차 특성 때문에전반적인 차량 하드웨어 신뢰성을 높이긴 했지만, 1. 전기차는 배터리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고2. 승차감 등 디테일한 터치는 불가능 결국 전기차와 내연기관... 당연히 수십년간 고도화된 과정에서 장단점이 있음. 하지만 중장기적으로 볼 땐 결국 전기차처럼 가야 하는 것이고,디테일한 하드웨어(구동장치) 갯수 경쟁이 아니게 되면... 중국 등 후발 주자들이 쉽게 ..

테슬라도 감가 지옥https://meritocrat.tistory.com/1259 2년만에 테슬라 모델S로 10만달러 날렸다는데2년 전에 한 전기차 유튜버가 산 모델S 중고 가격이14만 달러에서, 현재 4만6천달러로... 거의 10만달러 가까이 감가로 날아가 버림. https://vt.co/lifestyle/man-who-bought-tesla-for-140000-two-years-ago-is-stunned-meritocrat.tistory.com 타이칸도 감가 지옥https://meritocrat.tistory.com/1127 타이칸 1세대 중고 가격 나락, 이제 시작일 뿐이트론GT가 해외에서 이미 3년도 채 지나지 않은 상황에서 반값으로 나락 갔다는 건 이미 알려진 사실인데...참고 글 htt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