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충전 (99)
| It's electric |

pg(결제대행서비스)사 변경 안내 2023-08-29 항상 파워큐브코리아의 충전 서비스를 아껴주시고 이용해 주시는 고객 여러분께 늘 감사드리며 안내 말씀 드리겠습니다. 파워큐브코리아는 사회·경제적인 여건과 나날이 증가하는 원가 인상 요인을 자체적으로 해결해보고자 여러 각도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 일환으로 기존 PG사와 수수료 협상을 진행하였으나 원만한 합의를 도출하지 못하였고 관리 비용 증가는 고객 서비스 비용의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판단하여 부득이하게 PG사를 변경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따라서 2023년 10월 1일부터는 카드 재등록을 진행하셔야 충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오니 고객님들의 너른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https://www.ev-line.co.kr/cshelp..

테슬라 까는 채널이긴 하지만, 재미있는 자료를 팩트를 근거로 들고 왔네 ㄷㄷ 모델3의 경우 신형이 구형보다 충전 그래프가 훨씬 안좋아 졌네? 이러면 슈퍼차저 V3 어쩌고 순간 최대속도 250kWh 저쩌고, 이게 무슨 소용이 있음. 충전게이트로 확대될 상황 아닌가? 자료 출처 https://insideevs.com/news/519382/tesla-model3-82kwh-charging-analysis/ 2021 Tesla Model 3 LR AWD With 82 kWh Battery: Charging Analysis Today we will take a look at the most recent fast charging test of the 2021 Tesla Model 3 Long Range versio..

아우디 이트론55에 배터리가 100% 찰 경우 일어나는 상황에 대해서는 소개한 바 있다. 참고 글 https://meritocrat.tistory.com/584 이트론55 100% 충전시 발생하는 '회생제동 감소' 현상 이트론55(Q8이트론)의 경우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아래의 경우 50% 정도 충전시 화면) CHARGE 게이지의 폭이 넓게 유지된다. (녹색 게이지 표시 참조) 중력가속도 값이 0.3g 이상으로 브레이킹이 걸릴 meritocrat.tistory.com 그렇다면 배터리가 부족해지기 시작하면 (예컨데 10% 미만이라던가...) 어떤 상황이 일어날까. 차량이 어떤 메시지를 보여주는지 소개해 본다. 아우디 이트론55는 배터리 잔존 용량(퍼센트)과는 거의 별개로 주행가능거리 50km 미만이 될 때..

전기차 충전기 정책 발표가 29일 환경부 등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아래는 전문 주요내용을 보면 1. 충전기 확 늘리겠다. 2. 충전 신기술 대폭 도입하겠다. 3. 충전기는 지하3층 이상에만 설치하는 등 화재 대응책 마련하겠다. 4. 충전기 관련 전문인력 등 전문 거버넌스 체계 확보하겠다. 등으로 요약. 정부는 2030년 전기차 420만대 보급에 대비해 2030년까지 충전기 123만기 이상 보급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주거지 등 생활거점에는 완속충전기를, 고속도로 휴게소 등 이동거점에는 급속충전기를 집중적으로 설치한다. ※ 올해 5월말 기준으로 전국에 24만여기의 전기차충전기 구축(급속충전기 2.5만기, 완속충전기 21.5만기) .. .. .. 전기설비 용량이 부족해서 충전기 설치가 어려운 노후아파..

당초에 테슬라 사이버트럭 콘셉트 디자인에서는 후측방에 NACS 충전구가 있었는데 지금 유출되는 거의 RC버전 차량들 보면 휀다에 충전 포트가 달려 있음. 출처 https://insideevs.com/news/673873/tesla-cybertruck-charging-inlet-position/ Is It A Good Idea To Place The Tesla Cybertruck's Charging Inlet Here? The Tesla Cybertruck all-electric pickup will have a pretty unusual charging inlet location, and in today's post we will stop for a while to think about it. insid..

이트론55(Q8이트론)의 경우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아래의 경우 50% 정도 충전시 화면) CHARGE 게이지의 폭이 넓게 유지된다. (녹색 게이지 표시 참조) 중력가속도 값이 0.3g 이상으로 브레이킹이 걸릴 경우에만 회생제동을 넘어 물리적 브레이크를 사용하고 그 전까지는 두 단계에 걸쳐 리젠(회생제동)이 설정된다. 그런데 100% 충전이 되면, 아래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CHARGE를 뜻하는 게이지의 폭이 줄어 있다. 이 범위를 벗어나는 리젠은 충전을 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배터리가 이미 충전이 충분이 돼 있으니 배터리 보호를 위해 회생제동으로 충전을 하지 않는 것이다. 실제로 80% 미만으로 줄어들때까지 점진적으로 회생제동 게이지가 서서히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요점) 이트론55는 100% 충..

테슬라 입장에서는 플랫폼 세력을 확대해서 좋고 미 정부로부터 보조금도 받아서 좋고 슈퍼차저로 삽질해 온 성과의 과실을 챙기는 모양새인데, 포드에 이어 GM도 NACS(해골포트)를 채택하도록 끌어낸 건 전략적으로는 우수한 판단. 슈퍼차저와 NACS가 전기차 업계에서 북미 표준이 될 가능성이 80% 이상으로 높아졌다. 그것만으로도 대단한 성과인 것은 분명하다. 미국 정부도 보조금이란 무기로 테슬라 NACS를 외부 개방토록 간접 압박하여 충전기 인프라를 확대하는 데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모양새. 조 바이든 대통령이 2021년 11월 발효한 인프라법은 전기차 충전기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75억달러 보조금을 할당했다. 미 정부는 지난해에는 표준 규격을 채택해야 전기차 충전소 보조금을 지급하도록 정책을 바꿨다. 그..

120kW급 충전기에서 딱 오후 7시에 충전 시작했는데, 7시 40분에 충전이 끝남. ㄷㄷ 80%까지 120kw를 유지하고 (단 한번도 떨어지지 않음) 90%까지 100kW를 유지하고 100%까지는 100kW에서 50kW까지 점진적으로 떨어짐. 150kW를 지원하는 (400V 350A 스펙) 충전기의 경우에는 레알 10%~100%가 40분이면 충분할 듯. 너무 빨라서 도대체 뭘 편히 할 수가 없다 ㄷㄷㄷ 출차때문에 허겁지겁 달려옴 ㄷㄷ 순간적으로 정점을 찍고 급격하게 하락하는 테슬라 등 대부분의 전기차와는 차원이 다르고, 심지어 800V 충전기술로 속도가 높다는 신형 차량들도 일정 구간만 최고 속도가 나오고 이후에는 급격하게 속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많은데, 이트론55는 사실 이렇게 충전하다가는 배터리 터..

전문가 조사 자료에 따르면, 급속 충전으로 자연 노화가 최대 17%까지 가속화 될 수 있다고. 전기차동차에 장착된 리튬 배터리는 극단의 충전 상태에 취약 배터리를 완전히 바닥으로 쓰거나 또는 지나치게 잦은 완충을 하거나... 100%한도까지 충전하고 이를 완전히 방전하는 것을 반복하면 셀 화학적 구조에 스트레스를 준다는 설명. 배터리가 임계값까지 충전되면 셀 전압이 최고가 되고, 이 상태에서 배터리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두면 증가된 전압으로 인해 화학 반응이 증가하고 불필요하게 배터리가 노화됨. "Bild" 보도 자료 속 오스트리아 진단 회사 Aviloo의 데이터 자료에서는 정상적인 노화 기준에서 최대 17% 더 노화가 빨라질 수 있으며, 완속만 주로 사용한 차량에 비해 거의 1/5 주행거리 감..

테슬라 슈퍼차저 등 일부 전기차 충전기에서 충전기 순환을 위해서 시행하는 정책인데, 드디어, 대영채비 충전기도 미출차 수수료를 부과키로. 급속 기준이고 완속은 해당 없음. 1분당 한 천원 정도는 부과해야 좋은데, 안타깝... Meritocrat @ it's electric

환경부 충전기는 당초 악명보다는 생각보다는 관리가 되는 듯? 2023년 4월 10일자 기준으로, 전국에 사용불가가 16기로 확인. 대영채비와 시그넷이 불량 장치는 많지만 설치댓수 대비는 그렇게 많진 않은 듯. 출처 https://www.ev.or.kr/portal/board/refer/11793/? 정보마당 > 자료실 |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23년 전기자동차 공공충전시설 운영현황 작성자관리자 등록일2022-05-11 조회12382 www.ev.or.kr 실제로 지방을 다니다 보면 환경부 충전기는 생각보다는 고장이 드물고, 오히려 사업자들이 운영하는 충전기들이 문제가 있는 경우가 잦은 듯. 아마 환경부는 사업자들에게 고장율과 고장 대응소요시간 등으로 패널티를 주는 구조이지 않을까 싶은데... 암튼 그러하..

ESS 관련 업체가 진행하는 무료 충전 이벤트가 있어서 이트론55를 몰고 예약된 충전소를 방문했는데, 설치된 충전기의 충전기 스펙은 800V를 지원한다면서 아이오닉5의 경우 190kw까지 찍힌다고 설명. 이트론은 400V를 지원하고 350A를 받을 수 있으면, 최대 150kW를 받아낼 수 있다고 되짚어 설명했다. 특히 플랫하게 150kW를 찍어내기 때문에 전체 구간에서는 오히려 800V차량보다 충전속도가 빠를 수 있다는 뉘앙스를 오너 경험을 근거로 가이드함. 하지만 충전소 관리 직원은 무슨 뜻인지 잘 모르는 듯... 실제로 이트론55를 40%에서 처음 충전하기 시작했는데, 40%부터 즉시 최고 124kW를 찍기 시작함. 이정도 속도면 25분이면 100% 완충하겠다는 생각에, 주변을 대충 배회하다가 90%..

출처 https://www.caranddriver.com/features/g43480930/history-of-electric-cars/ The Electric Car’s History Goes Back Further Than You Think The first electric cars appeared long before the earliest gas autos, and the history of electric cars is littered with innovative takes on four-wheeled transit. www.caranddriver.com 단 한글자도 요약하기 싫을 만큼 전체적으로 다 재미있는 내용일세. 정리가 잘 돼 있으니 구글 번역 기능으로라도 한번 씩 쭈욱 읽어 보시길. 케..

충전 환경과 편의성에 대해 이야길 하면서, 테슬라 모델S와 모델X 구형 모델은 (지금까지 국내 출시된 모델은 전부 해당) DC콤보 어댑터를 사용할 수 없어서 매우 불편하다고 설명한 바 있다. 참고 글 https://meritocrat.tistory.com/490 충전 환경은 국산 전기차가 더 좋은 이유 충전 환경은 국산 전기차가 좋은 점이 있는가는 다소 흥미로운 질문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왔다. 당연히 많은 사람들은 1차원적으로 충전에 무슨 국산 외산 차량 따지는 게 있느냐고 그런거 meritocrat.tistory.com 그런데, 올 초부터 구형 모델S와 모델X를 대상으로 미국 내에서 CCS1 어댑터(DC콤보 어댑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레트로핏 작업을 유상 진행중이다. 이 부분은 국내에서 중고로 모..

충전 환경은 국산 전기차가 좋은 점이 있는가는 다소 흥미로운 질문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왔다. 당연히 많은 사람들은 1차원적으로 충전에 무슨 국산 외산 차량 따지는 게 있느냐고 그런거 없고, 오히려 테슬라는 더 좋을 수 있다고 깨알 자랑까지 등장한다. 그런데 사실 이런 건 여러 차량의 충전 인프라 상황을 잘 모르고 하는 바보같은 질문이다. 충전 규격만 동일하면 상관없다고 생각하는 건가.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자. 1. 일단 전기차 충전은 국산차가 유리한 점이 있다. 현대기아의 경우 자체 브랜드로 운영되는 이핏이나 제네시스의 경우 전용 충전 스테이션도 일부 설치돼 있고, 이 곳에서는 현기차 오너들은 할인 충전이 가능하다. 또한 제휴된 충전기의 경우 할인이 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2. 현재 지속적으로 보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