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배터리 (105)
| It's electric |

https://naver.me/FENluIEz 배터리 바겐세일 나서는 中… 고심 깊어진 韓 中 LFP 배터리 셀 가격 하락세 장기화 1위 CATL, 글로벌 평균 56% 가격 제시 ‘전기차 원가 40%’ 배터리값 인하 압박 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가격 인하에 나서면서 국내 배터리 산업에 대한 우려가 커 n.news.naver.com 미친 듯한 가격 공세로 업계 초토화 ㄷㄷ 성능 이런거 다 필요 없고 값싸면 뭐든지 환영받는다. 독일 전기차들이 죄다 중국산 배터리 쓰는 이유... 배터리 기술 종속 되면 큰일난다는 인식이 세계적으로 확산. Meritocrat @ it's electric

아우디 이트론55의 배터리 교체 건은 2023년 전에 생산된 차량의 경우, 미국에서는 전량이라고 하는데.... 참고 https://meritocrat.tistory.com/864 LG엔솔 채택한 이트론55 배터리 전면 교체 공식 확정 아우디 이트론55의 220V 충전케이블 리콜에 대해서는 이미 소개한 바 있으며, 국내에서 어떻게 진행할지는 미정인 상황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참고 글 https://meritocrat.tistory.com/861 이트론55 등에 기 meritocrat.tistory.com 국내에서는 일단 2020년식에 한해 리콜이 확정된 것 같다. 다만 이게 끝이거나 전부가 아닐 가능성도 있어 보여, 조금 더 지켜봐야 할 듯. 암튼 2020년식인 이트론55는 리콜 확정. 사전예고장이 24..

물론 꽤 상당한 사람들이 문제 없이 차를 타고 있긴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이런 고통을 받는 오너도 있다는 사실. 늘 말하지만, 코로나 시국에 제작된 차량의 부품 퀄리티에 대해서 나는 매우 부정적으로 보는 입장이라.... 전기차 돌풍으로 부품이 만성적으로 부족했고, 부품 없다고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대체 공급망으로 때웠을 게 분명한데,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생산된 차량을 과연 신뢰할 수 있을까. 이런 음모론?을 떠나서, 단순 뽑기운이라고 친다면.... 언제든 예상치 못한 고장이 날 수 있는게 기계장치인 건 인정하겠지만... 그래도 수리가 이런 식이면 정말 곤란하지. 비싼 차 팔아먹고, 제대로 좀 하자 제발... Meritocrat @ it's electric

아우디 이트론55의 220V 충전케이블 리콜에 대해서는 이미 소개한 바 있으며, 국내에서 어떻게 진행할지는 미정인 상황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참고 글 https://meritocrat.tistory.com/861 이트론55 등에 기본 제공된 220V 충전케이블 리콜? 미국에서 확정된 사안임. 충전 케이블에 대한 리콜은 NEMA 14-50 콘센트에 맞도록 설계된 40암페어, 220/240V ‘산업용’ 충전 케이블과 함께 판매된 모든 차량에 적용된다. The report attached below further s meritocrat.tistory.com 그런데 미국에서 또 다른 결정이 나왔는데, 초기 아우디 이트론55 차량의 배터리 중 LG에너지솔루션(LG엔솔) 제품을 사용한 차량에 대해서 배터리 전체 ..

A씨는 배터리 등 주요 부품이 장착되지 않은 차체 92대를 중국에서 낮은 가격으로 수입한 뒤 허위 계약서를 작성, 정상적으로 전기차를 판매한 것처럼 꾸며내 보조금을 챙긴 혐의를 받는다. 자동차 제작증과 구매계약서 등 서류만 갖추면 환경부 저공해차 구매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적 허점을 악용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363386?sid=102 중국서 들여온 '껍데기 차체'로 전기차 보조금 54억원 타내 배터리 등 주요 부품 없이 대당 5천만∼7천만원 부정수급 자동차 제작증과 구매 계약서를 위조해 전기자동차 구매보조금 약 54억원을 챙긴 일당이 적발됐다. 서울 관악경찰서는 보조금관리에관 n.news.naver.com 이런 식이면 얼마나 눈..

배터리에 일부 손상만 있는데, 심지어 아주 극도로 단순한 부품 교체 또는 수리로도 가능한 부분인데, 절대 부분 수리를 하지 않고 어셈블리로 통째 교체하는 일부 전기차 업체들. 앗쎄이 논란은 사실 오랜 수입차 A/S의 고질병 중 하나임. 고쳐 쓸 생각을 안하고 문제가 있을 것 같으면 일단 통째로 교환해 버림. 고객들은 당연히 그렇게 수리해야 하는 줄 알고 눈탱이 맞는 거고. 무상 보증기간이 문제가 아니라, 보증기간이 끝난 뒤에도 이런 행태가 반복되는 것이 더 심각. 그런데 전기차 업체들의 행태를 보면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특히 고전압배터리나 일부 특수 부품들의 경우 무조건 어셈블리 교환 처리를 주장. 아래 영상을 보면 플라스틱 쪼가리 하나 때문에 배터리팩을 통째 교체한 테슬라 사례를 지적하고 있음. 영상..

지난 10월에 공개된 것이다. 현대기아차 전기차의 배터리 가격을 공개한 자료인데, 가격 장난 아니네... 보조금 받아서 덜컥 샀다가 서민들은 완전히 망할 가능성 있음... 가격대비 배터리 가격이 가장 비싼 것은 코나 전기차 24로 평균 자동차 가격이 4,343만원인데 배터리 가격은 2,644만원이 되어 가격대비 61%에 달한다. 차량의 작은 충격이나 미세한 접촉으로 배터리를 통째로 교체할 경우 23%의 비용을 더하면 3,200만원 가량이 되는데 이는 신차 가격의 65%가 되어 감가상각을 하면 배터리 교체보다 폐차를 하는 편이 낫다. 기아자동차는 5개 차종의 전기차를 출시하고 있으며 그중 가장 배터리 비율이 높은 차종은 레이전기차로 배터리 가격이 21,329,000원이고 차량의 평균 가격은 2,845만원이..

이트론55가 테슬라 슈퍼차저를 이용할 경우에 대해서 앞서 몇 가지 사례를 예측해 소개한 바 있다. 참고 https://meritocrat.tistory.com/821 이트론55가 슈퍼차저를 사용하기 매우 불편한 까닭 한국서 테슬라 슈퍼차저가 DC콤보 충전을 허용하기 시작했다는 사실은 이미 국내 최초로 전해 드린 바 있다. 관련 https://meritocrat.tistory.com/820 [첫 보도] 슈퍼차저 한국서 개방...앱 먼저 깔아야 가 meritocrat.tistory.com 이트론GT의 경우에는 이미 아우디 딜러사인 코오롱 채널에서 테스트를 해서 영상을 올렸다. 참고 영상 https://youtu.be/3xmYH0tjtUk?si=klC9hnpedopH0Eq7 1. 일단 이트론GT도 옆으로 비스..

최저지상고가 낮은 편인데다가 휠베이를 길게 뽑아 버려서 웬만한 곳을 바닥을 쓸고 지나간다고. (벤츠 센터에서 가장 많은 교체가 일어나는 EQE 부품이, 바닥 배터리를 감싸는 부직포라는 주장 ㄷㄷ) 문제는 바닥에 배터리가 배치돼 있고, 이 부분은 부분 파손이 발생해도 엄청난 교체비용 감수가 불가피. EQS는 아마 에어서스라서 그나마 조절이 가능할 듯 하고, 포르쉐 타이칸 류의 경우에는 이미 스포츠카 포지션인데다가 타이칸 크로스투리스모는 최저지상고가 높음. 일반적으로 도심 등에서 탈 분들이 EQE를 사는 건데, 차가 이런 식으로 바닥을 쓸어 버리면 레알 빡칠 듯. Meritocrat @ it's electric

해당 배터리는 2025년부터 현대· 기아차의 소형 및 보급형 전기차와 중저가 전기차 에 탑재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배터리셀 용량을 LFP 배터리로는 업계 최고 수준인 60암페어(Ah)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에너지 밀도는 300와트시(Wh)/Kg 수준으로 알려졌다. 출처 https://v.daum.net/v/3JbsfBkUob 현대차, LFP 배터리 자체 개발한다. 보급형·중저가 전기차 공략 [M투데이 이세민 기자] 현대차그룹이 전기차용 LFP 배터리를 자체 개발해 중국산 배터리 의존도를 낮출 계획이다. 현대차는 올해부터 국내 배터리 제조사와 2년간의 합작 프로젝트를 진행해 2024 v.daum.net 레이 등 일반적인 저가형 차량에 중국산 CATL 배터리를 쓰는 것에 대해 상당한 고민이 있었..

독일 자동차 관련 가장 권위있는 소비자 단체 ADAC에서 폭스바겐 ID3로 장기간 테스트를 했는데, (ID3가 좋다는 의미가 아니라, 그냥 저렴한 대표 모델을 하나 잡고 테스트 했다는 뜻) 10만km를 달렸더니 배터리 열화율이 93%에 불과했다고. 배터리를 아끼지 않고 주로 고속충전 위주로 테스트를 한 결과라는 점이 더 고무적. 기계적 결함이나 유리파손 등 필요한 수리 외에는 오일 등 기본 유지보수는 거의 필요가 없었다는 점도 눈길. 테스트 결과 자료 참고 https://www.adac.de/rund-ums-fahrzeug/autokatalog/autotest/vw-id3-dauertest/ Dauertest VW ID.3 Das Elektroauto aus Wolfsburg beweist sich al..

BMW가 테슬라에 이어 원통형 배터리에 꽃힌 건 이미 소개한 바 있다. https://meritocrat.tistory.com/158 BMW "원통형 배터리 사용했더니 주행거리 30% 늘더라" 2025년 출시할 BMW 3시리즈 세단에 Neue Klasse(독일어로 뉴 클래스라는 뜻) 플랫폼에 적용하는 배터리 규격이 파우치가 아니라 '원통형'이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테슬라처럼 4680 규격의 원통형 meritocrat.tistory.com https://meritocrat.tistory.com/337 BMW "리튬이온 기술은 정점...전고체 배터리가 희망" BMW의 Gen6 에너지, 성능 및 수명 책임자인 Simon Erhard는 "에너지 밀도의 관점에서 이미 최적의 리튬 이온 셀 기술 정점에 도달..

중국의 Li Auto에서 Mega라는 전기 미니밴을 만들고 있고 조만간 출시 예정이라고 소개한 바 있다. 참고 https://meritocrat.tistory.com/771 Li Auto의 전기 미니밴 'Mega' 올해 말 공개 예정 중국 Li Auto(리샹 , https://www.lixiang.com/ ) 첫 번째 전기 미니밴 Li Mega 사진이 많이 돌고 있는 모양. 자료에 따르면, 위장막으로 덮힌 이 사진들은 베이징 Li Auto 본사 캠퍼스에서 시운전을 하는 모습 meritocrat.tistory.com 그런데 이놈들이 CATL 배터리로 거의 800V에서 700A넘는 전류를 흘려 순간 촤대속도 500kW 속도를 넘어섰다는 소식. 그냥 테스트 수준의 스토리인 줄 알았는데 레알 테스트를 하고 있는..

아우디 이트론55 뿐만 아니라 포르쉐 타이칸도 그렇고... 아우디/포르쉐 플랫폼은 전기차 충전구를 2개 장착할 수 있도록 기본 설계가 돼 있다. 한쪽은 급속완속 겸용이고, 다른 쪽은 완속 충전구가 설치되는 것이지. 다만 아우디 이트론55 국내 수입 차량은 이 옵션이 빠졌다. (반면, 포르쉐 타이칸은 국내에서도 옵션으로 선택이 가능함. 양쪽 충전구 설치하는데 옵션비를 약간 더 받는 걸로 알고 있는데 정확한 건 잘 모르겠네. 암튼.) 아래는 이트론55의 해외 출시 차량 사례다. 충전구가 양쪽 휀다에 모두 있다. 이트론55 해외 사례 소개 포스팅 https://meritocrat.tistory.com/110 이트론55에는 충전구가 2개? 레트로핏 할 수 있었으면! 아우디 이트론55에는 운전석 쪽 충전구가 1개..

사실 이 이슈는 소개하기 상당히 민감한 부분이다. 분명히 전기차 화재로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전기차는 화재 발생 시 진화가 쉽지 않은 것은 팩트이긴 때문이다. 전기차를 옹호한다기 보다는 현재까지 통계적으로 필요한 팩트를 확인하여 과도하게 우려하거나 오해하는 일이 없었으면 하는 바람일 뿐. 일상생활에서 전기차 배터리가 충분히 위험한 것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아래 링크의 다양한 자료에 따르면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스웨덴 민간 비상사태국의 2023년 5월 보고서 에 따르면 스웨덴에서 내연기관으로 구동되는 차량은 전기 차량보다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20배 더 높음. 2. 또한 EV FireSafe는 전세계적으로 2010년부터 2023년까지 약 0.0012%의 전기 승용차에서 화재가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