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2/11/28 (6)
| It's electric |

보통 수입차 회사들은 분기별로 마감을 하면서 할인으로 반짝 매출을 올리는 전략을 취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할인을 잘 안해주는 브랜드가 벤츠. 아우디는 할인의 대명사이니 두말할 것도 없고, 문제는 BMW코리아의 전략이다. BMW코리아는 대표적으로 아우디만큼 할인금액을 멋대로 조정해서 기존 구매 오너들의 뒷통수를 잘 때는 것으로 유명한데, 유독 전기차 재고가 부족했던 최근 1~2년 동안 전기차는 단 1원의 할인도 없이 판매를 유지해 왔다. 물론 그 동안 재고가 없어서 할인이 없었던 까닭도 있지만... 암튼 그런데 최근 iX50에 온갖 자잘한 문제들이 터지고 있고 i4는 2023년식이 되면서 가격을 기습인상하고 하위 트림을 없애면서 없어도 못파는 상황에서 재고가 남아도는 상황으로 바뀌고 있다. 온라인 판매 ..

그러니까, 그저 근로소득이나 노리고, 자기 일에만 빠져 주변 상황의 변화에 눈 돌리지 못하고, 남들 하는 방식대로 쳇바퀴처럼 살면, 평생 성공 못한다. 회사는 월급 100만원을 주는 이유가 너에게 200, 300만원 가치를 뽑아낼 수 있기 때문이며... 그나마 쓸모가 없어지면 가차없이 아웃이다. 자신이 하는 회사 일에만 빠져 있지 말고 월급이 주는 몰핀에만 취해 있지 말고 뭔가 다른 방법을 끊임없이 찾아라. 회사를 다니면서 끝없이 기회를 노려라. 투자가 내 삶의 전부인 것처럼 집중하라. 무모하지 않고 가장 똑똑한 방법으로... 그리고 준비가 확실히 됐을 때 관두는게 진정한 위너임. 그리고 성공하면 이 개소리도 명언이 된다! 2018년에 블로그에 썼던 이 원본글은 2022년 현재도 부인할 수 없는 명언이 ..

1963년의 한 기사... 그리고 1919년 데일리미러의 한 시사만화... https://boingboing.net/2022/06/06/this-1963-newspaper-article-has-a-photo-of-a-mobile-phone-prototype.html This 1963 newspaper article has a photo of a mobile phone prototype | Boing Boing An article from the April 18, 1963 edition of the Massfield News-Journal promised “You’ll be able to carry a phone in pocket in future.” Right now, it’s a laboratory d..

재미있는 자료가 한 가지 있다. Cupra Born (폭스바겐 MEB 플랫폼 기반 전기차) 주행 테스트 결과 그리고, 메르세데스 벤츠 EQS 450+ 주행 테스트. 출처 https://electricdrivemagazin.de/ 1000km를 한번에 뛴다고 가정할 때, 배터리 용량이 크고 공기저항계수(Cd)가 낮으면 대략, 중간에 한번 정도 더 충전해야 하는 차이가 난다. 또한 시속 100km / 120km / 140km 주행 조건에 따라 배터리 소진 속도가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차량 성능이 좋으면 또 밟는 걸 안할 순 없거든... 고성능 차량이 100km로 달리는 거랑 보급형 차량이 어쩔수 없이 100km로 달리는 거는 다르다. 결국, 배터리 용량이 커서 주행가능거리가 긴 것은 어느 정도 오너..

사실 전기차업체 리비안이 R1T와 R1S만 생산하는 건 아니란 걸 다 알 것이다. 1~2달 전부터 아마존에 독점 납품하기 시작한 전기밴이 꽤 평가가 좋다고 들었다. 다만 이 차량은 아마존이 대량으로 선주문해서 납품받는 전기 밴(트럭)이어서 오너들의 리뷰라는 개념이 없을 뿐이지. 그런데 아마존 배송기사로 추정되는 이 사람이 상세한 영상 리뷰를 올렸다. 아마존 배송 담당이 아니라면 절대 알 수 없는 리비안 밴의 특이점, 평가... 이런 것을 알 수 있다. 리비안은 벤츠와 손잡고 이 밴과 트럭을 기반으로 유럽에서 공장을 지어 전기 트럭을 생산할 계획이다. 리뷰 영상 https://youtu.be/3TFz1xqp3us 리뷰 영상의 댓글을 보면 상당히 혁신적인 포인트가 많다는데, 사실 이런 밴을, 특히 경쟁사(페..

웃긴 내용이긴 한데 생각해 볼 문제는 훨씬 더 광범위한 것 같아서 소개를 해 본다. 완속으로 충전하면 급속보다 더 전기를 꾹꾹 눌러담는 것 같다? 주행거리가 더 늘어나는 것 같다? 이런 글이 올라왔다. 일부 댓글을 보면 심지어 동조하는 사람들도 보인다. -> 당연 사실이 아니다. 일단 완속 충전이 급속보다 충전을 더 체계적으로 하는 것은 맞다. 셀 밸런싱을 시간을 두고 진행하면 확실히 더 안정적으로 충전은 된다. 다만 이건 어디까지나 기술적인 설명이고 물리적인 충전 총량은 오직 SoC에서 측정한 배터리 충전량으로 결정될 뿐이지, 동일 양 충전에서 완속과 급속이 달라질 건 없다. 그렇다면 일부에서 이런 차이를 느낀다고 착각하는 이유가 뭘까. 일단 추측컨데 세가지로 압축되는데... 1. 완속이 급속보다 훨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