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s electric |
완속보다 차라리 '급속'이 더 좋은 선택일 수 있을까 본문
전기차 충전에서 완속과 급속은
영원한 논쟁거리다.
이 글에서 한 가지 전제할 것은
"급속이 배터리 수명에 더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은
감안하지 않기로 한다.
충전 효율 부분만 검토해 볼 예정이다.
AC는 말 그대로 완속 충전.... 2~3kw부터 11kw 22kw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펙으로 교류전력을 차에 넣고,
차량이 ACDC컨버터를 통해 직류로 변환해서 고전압배터리에 쑤셔 넣는 방식임.
이 과정에서 전기는 필연코 '손실'이 발생한다.
전략 공급단계에서 케이블, 온보드 장치를 거치는 과정 전체에
에너지 손실이 발생함...
https://meritocrat.tistory.com/132
전기차 교류 충전(완속충전)의 '손실'을 아시나요?
AC는 멀리 오래보내고, DC는 짧게 빨리보낸다. 이트론55의 충전구가 해외 출시 모델처럼 2개 있었으면 좋겠다는 이야길 며칠 전 소개하면서 AC와 DC에 대해 대략적으로 소개한 바 있다. AC는 말 그대
meritocrat.tistory.com
그리고 이어진 글에서, 여러 가지 추가 정보를 소개하기도 했음.
50kW급 급속 충전기에서 전기 손실이 가장 적었다는 통계도 있음.
https://meritocrat.tistory.com/312
완속으로 충전하면 전기를 꾹꾹 눌러 담는다? ㅋㅋ
웃긴 내용이긴 한데 생각해 볼 문제는 훨씬 더 광범위한 것 같아서 소개를 해 본다. 완속으로 충전하면 급속보다 더 전기를 꾹꾹 눌러담는 것 같다? 주행거리가 더 늘어나는 것 같다? 이런 글이
meritocrat.tistory.com
해외에서도 날아가는 전기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계속 올라오는 떡밥임.
From the electricvehicles community on Reddit
Explore this post and more from the electricvehicles community
www.reddit.com
https://www.speakev.com/threads/home-charging-losses.185200/
Home charging losses
As my car (2022 Kona Ultimate) is new to me I have been keeping an eye on my charging at home. Don't worry I'm not a total geek, this will stop happening after the newness of this car wears off and I’m satisfied nothing is wrong. Now I have had 2 EVs bef
www.speakev.com
전기차를 충전할 때 전기 충전손실은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는데,
1.AC는 기본적으로 효율이 좋지 못하고...
2. AC-DC전환이 이뤄지는 차량 내 보드에서 손실이 필연적이고...
3. DC충전의 경우에도 AC보다는 손실 전기가 적지만
전류가 많이 흐르기 때문에 열손실은 피할 수 없다고.
문제는 기술적으로 따질 충전 손실이 아니라
내가 실제 내는 돈에 영향을 주는가는 것이다.
1) 예컨데 나는 100만큼 충전하고 100을 지불했는데,
실제 충전기 업체에서 110을 청구한다면?
2) 예컨데 나는 100만큼 충전하고 100을 지불했는데
실제 차량에서는 90만 저장됐다면?
3) 예컨데 나는 100만큼 충전하고 100을 지불했는데,
실제 충전기 업체에서도 100을 청구하긴 했지만,
알고보니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단가를 10만큼 더 높여 일부러 과다 청구했다면?
.
.
모든 케이스에서 억울한 상황은 여전히
전기차 오너다 ㄷㄷ.
차량 외부에서 발생하는 손실과 차량 내부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구분해야 할 것이다.
1-1. ACDC 컨버터에서 효율이 떨어져 손실이 발생한 경우 차량의 손실임
1-2. 전기차 고전압배터리에 전기가 쌓이면서 발생하는 열 등에 의한 손실은 차량의 손실임
2-1. 충전케이블이나 콘센트 단자 등에서 발생한 열 등으로 인해 손실이 발생할 경우 충전기 업체 손실임
2-2. DC충전의 경우 충전파워에서 발생한 물리적 손실의 경우(kW가 높을 경우)는 충전기 업체 손실임
3. 계절(겨울 등)로 인해 발생하는 충전 효율 저하는 차량 외부, 차량 내부 모두의 손실임
다만 구조적으로 급속은 손실에 한 단계 이상 자유롭기 때문에
완속충전이 매우 저렴하지 않는 이상
효율 좋은 급속충전(중속 기준)이 차라리 더 가치가 있을 수 있다는 가설도 가능하다.
기준은, 테슬라 모델3 해외 충전테스트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50kW 급속충전이 휘발되는 전기가 적고 가장 효율이 좋음.
그런데 또 사용자 환경에 따라 어떤 분들 왈,
애매한 급속충전이 오히려 손실이 컸다는 주장도 있으니,
실제 차량 종류나, 계절적 요인, 운영환경에 따라
직접 비교해서 확인을 해 보는 것이 좋을 듯 하다.
게다가 요즘 완속충전도 급속만큼 비싸진 상황이어서
급속이 어쩌면 완속보다 개꿀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Meritocrat @ it's electric